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세종특별자치시 세종도시재생

개요

청춘조치원 프로젝트란?

“활기찬 경제! 행복한 주민! 청춘 조치원!”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조치원을 2025년까지 세종시의 경제중심축으로 육성하여 인구 10만 명이 쾌적하게 거주할 수 있는 생활기반을 주민과 함께 만드는 도시재생사업입니다.

비전 : 활기찬 경제!행복한 주민!청춘조치원!, 목표: 1)2025년까지 인구 10만명이 거주할 수 있는 세종시 경제 중심축으로 육성.2)구·신도심의 조화로운 균형발전. 3)새로운 일자리 창출로 활기차고 행복한 도시건설, 5대전략:도시재생, 인프라구축, 문화복지, 지역경제, 뉴딜사업. / 최종 : 주민이 스스로 진단하고 해결하는 시민참여 기반 구축

5대 전략과 중점 추진분야

  • 도시재생 : 도시구조 및 근린생활환경 개선, 마을공동체 활성화
  • 인프라 구축 : 경제 활력형 도로교통망 확충, 권역별 주차공간 확보
  • 문화·복지 : 문화․레저․교육 벨트 조성, 친환경 하천 정비
  • 지역경제 : 과학벨트 사업 촉진, 기업 유치, 일자리 창출, 전통시장 육성
  • 뉴딜사업 : 주거정비, 청년일자리와 사회적 경제 연결, 면지역으로 확대(읍.면 통합정비)

추진 체계

  • 실행기
    (2014~2017)
    • 도시기반 인프라 구축
    • 행정주도 주민참여형
    • 주민 역량 강화
  • 성숙기
    (2018~2022)
    • 사회적 경제기반 구축
    • 주민주도 행정지원형
    • 지역공동체 활성화
  • 정착기
    (2023~2025)
    • 청춘조치원 프로젝트 완성
    • 주민주도형 정착
    • 도시재생 선도모델 확산

실행기(2014~2017)

  • 지속적인 과제 발굴 및 사업별·시기별 점검을 통한 과제의 고도화 및 세종형 도시재생사업의 차질 없는 추진

성숙기(2018~2022)

  • 세종형 도시재생사업인 ‘청춘조치원 프로젝트’와 정부의 도시재생 뉴딜정책의 접목
  • 세종형 도시재생사업
    (청춘조치원 프로젝트 추진)
    • 전방위적 대응
    • 철저한 주민주도
    • 전담부서 운영(도시재생과)
  • 도시재생 뉴딜사업
    (조치원역 중심시가지, 상리)
    • 주거정비(빈집, 저층주거지 포함)
    • 전통시장 활용
    • 청년 일자리와 사회적 경제 연결
    • 면지역으로 확대(읍․면통합정비)
  • 청춘조치원프로젝트 시즌 2 완성
    • 도시․문화인프라 구축 완료
    • 경제활성화 기반 구축 완료

정착기(2023~2025)

  • 주민주도형 거버넌스를 구축을 통한 공동체 중심의 세종형 도시재생인 ‘청춘조치원 프로젝트’를 도시재생의 선도모델로 확산